<p></p><br /><br /><br>골프장에 출동한 소방차, 무슨 일이 벌어진 걸까요.<br> <br>지난 4월 전남 순천의 한 골프장에서 50대 여성이 공을 주우려다 연못에 빠져 숨졌습니다. <br> <br>경찰은 최근 캐디를 입건하고 중대시민재해를 일으킨 혐의로 골프장 대표를 추가 입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골프장 연못, 한번 빠지면 얼마나 위험한지 알아봅니다. <br><br>골프장 연못은 보통 '워터 해저드' 라고 부르는데요. 조경을 위해 만든 얕은 수심의 '경관용'과, 빗물을 모아두기 위해 만든 '저류용'으로 나뉩니다. <br> <br>저류용은 가뭄 때 잔디에 뿌릴 빗물을 모아두는 용도라서, 폭도 넓고 수심이 깊습니다. <br><br>물이 빠져나가지 않게 표면을 시멘트나 비닐로 덮어서 바닥도 미끄럽습니다. <br> <br>해저드 내부를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서도 위험성이 다른데요. <br><br>수영장처럼 바닥을 평평하게 만드는 직벽형, 중심으로 갈수록 수심이 깊어지는 경사형이 있습니다. <br><br>1998년 박세리 선수가 양말을 벗고 들어가 샷을 날렸던 해저드의 물을 뺀 모습입니다. <br> <br>한눈에 봐도 얕은 경관용이자 직벽형이죠. <br> <br>수심이 얕은 데다, 물에 빠져도 턱면을 잡고 나올 수 있어 그나마 안전한 편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번 사고가 난 해저드는 최대 수심 4m에 이르는 저류용이면서 경사형이었는데요. <br> <br>캐디가 구명환을 던져 구하려 했지만, 수심이 깊고 바닥 방수포 탓에 미끄러워서 구조엔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<br>[이원태 / 대원대 응급구조과 교수] <br>"들어가면 10cm, 20cm, 30cm 이런 식으로 깊어지죠. 물을 채워서 가뭄 때 잔디에 물을 줘야 하니까 많이 깊죠. (깊이가) 20m 되는 곳도 있어요." <br> <br>해저드 주위에 안전 펜스나 수심을 알리는 표지판을 설치한 골프장은 드문데요. <br> <br>가급적 물에 빠진 공은 찾지 말라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입니다. <br> <br>팩트맨이었습니다.<br> <br>연출·편집 : 황진선 박혜연 PD <br>구성 : 임지혜 작가 <br>그래픽 : 유건수 김민수 디자이너 <br>사진출처 : 전남 순천소방서<br /><br /><br />정현우 기자 edge@donga.com